고민 하지말자 걱정 모든게 걱정 리스트언젠간 집은 살 수 있을까?언젠간 차는 살 수 있을까?"내가 잘하고 있는건지 음.." 초특급 개발자가 싶다!!!파워 블로거가 되고 싶다!! 인생에도 가이드라인이 있었으면 참 좋겠는데 ㅋㅋ(물론 그렇게 살진 않을 것 같다. 간혹 참고만 ㅋㅋ) 더보기 HTTP 에러정리 개발 하다 보면 에러코드를 외워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조금씩이라도 알고 있어야겠다는 생각에 퍼오게 되었다.!!code : 200reason field : OK 의미 : 클라이언트의 request가 성공적으로 수행됐다. request처리결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정보는 사용된 method에 따라서 달라진다.reason field : GET의미 : request가 지정한 자원이 response메세지로 전달 된다. reason field : HEAD의미 : response메세지에는 요청된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header만이 포함된다. reason field : POST의미 : 지정된 동작의 수행결과를 포함하거나 결과를 설명하는 엔터티가 전달된다. code : 201reason fiel.. 더보기 Spring DI & IOC 처음에 스프링을 접했을때는 너무 생소한 단어였던 기억이난다. 사실 지금 회사에서는 닷넷 & Nancy프레임웍을 사용하고 있는데 어디서나 Ioc 컨테이너는 중요한 것 같다. 1. IoC란? 간단하게 제어의 주도권을 스프링에게 넘겨주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클래스는 자신이 사용할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즉 사용할 프로그램이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Ioc는 제어흐름을 뒤집는다. 클래스는 자신인 사용할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제어권한을 가진 특별한 오브젝트에 의해 결정되고 만들어진다 2. IoC 구현 방법 DL(Dependency Lookup) 의존성 검색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Bean에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Bean을 검색하는것 DI(Dependency Injection) 의..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